본문 바로가기

볼거리/deep

[deep]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설계 방법

B.IoT, 4차 산업혁명, 초연결시대

요즘 어디를 가도 보이는 단어들이다. 

이런 단어들은 R&D나 연구에서도 단골로 들어가는 요즘 시대를 대변하는 대표 키워드다.

 

과연 이런 단어들이 우리 디자이너와 얼마나 밀접하게 있을까?

 

요즘 시대에 디자이너는 얼마나 시대와 발맞춰 가고 있을까? 

 

디자인은 사회적 배경에서 나오는데, 정작 설계가들은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무관심한 것은 아닐까.

 

반갑게도 최근 다양한 시도들이 학계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중 하나인 가상현실(VR)을 활용한 디자인 방법이다.

 

먼저 VR이 디자인에서 왜 필요할까.

가장 큰 이유는 '직관성'이다. 설계 과정을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이는 그 공간을 활용할 사용자가 전반적인 디자인을 이해하는 것을 돕는다.

사용자의 디자인 이해력이 높아지게 되면 더욱 질 높은 피드백이 가능해진다.

이는 디자인의 품질과 만족을 높이는데 효율적이다.

 

모형을 만드면 되지 않나? 

만들어 본 사람만 안다. 비싸고, 느리고, 힘들다.

모형의 가장 큰 단점은 현실상 모형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외부만 주로 볼 수 있을 뿐

사용자가 공간의 디자인 의도를 직관적으로 체험하기 힘들다.

 

그렇다면 VR은 어떻게 적용해볼 수 있나?

이 글에서 주안점은 디자이너가 사용하는 툴 혹은 디자인 환경과 크게 다르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야 쉽게 적응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 툴이나 혹은 비슷한 디자인 환경에서 시도해보고자 한다. 

 

아래에 소개할 기법은 2019.06에 한국조경학회지에 소개된 방법이다. (저자: 덩베이지아 외 3명)

이 기법은 VR를 활용해 주택 정원을 설계하였다.

 

필요한 설계재료는 다음과 같다 : 

1. AutoCAD

2. SketchUp

3. Lumion 6.3 버전 이상

4. 360도 VR 파일 변환 사이트 혹은 프로그램 (루미온에서 자체 제공하고 웹에서 변환 가능하다.)

5. VR-Box

 

디자이너라면 1번부터 3번까지는 알 수 있고, 어떤식으로 작업이 진행 되는지 감이 올 것 이다. 

1. AutoCAD를 통해 2D도면 작성을 먼저 해준다.

2. SketchUp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3D 모델링을 구축한다.

3. Lumion을 활용해 만들어진 3D 모델에 렌더링을 위한 색, 재질, 질감표현 등을 해준다.

   이를 루미온에서 제공하는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로 출력한다.

4. 720yun.com에서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를 업로드 및 수정한다.

5. VR-Box를 이용하여 취합된 이미지를 체험 할 수 있다.

 

 

VR을 활용한 디자인 기법 과정

 

 

위에 소개한 연구분들은 아래와 같이 VR을 적용했다. 

 

1. AutoCAD

1. AutoCAD (2D도면 작성)

먼저 AutoCAD로 기존도면으로 수종, 조명, 시설 등 기초적인 디자인 2D 정보를 만들었다.

 

 

2. SketchUp

2. SketchUp (3D 모델링 제작)

스케치업으로 3D 모델링을 구축했다. 스케치업으로는 랜더링을 할 게 아니기 때문에,

스케치업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재질만 입히는 수준으로 모델링을 만들면 된다.

 

 

3. Lumion

3. Lumion (렌더링 작업)

 

4. Lumion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 변환 작업)

루미온에서 본격적으로 재질을 입히는 작업을 하면 된다. 루미온은 굉장히 직관적인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디자인 툴을 익힐 수 있다. 루미온에서 하는 랜더링 작업이 앞으로 최종 랜더링 퀄리티를 거의 결정하기 때문에 최대한 비중을 두어 작업할 필요가 있다. 렌더링이 끝났다면 루미온에서 제공하는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로 모델을 저장하면 된다.

 

루미온 프로그램 내에서 'Render VR Panorama'를 클릭한다.

- Quality(품질)는 Draft(연습)와 Production(최고) 퀄리티를 선택한다. 

- Target Device는 GearVR(VR기계를 사용해서 보는 방법)나 LumionVR(루미온에서 보는 방법)을 선택한다.

- 나머지는 기본사항으로 선택한다.

 

 

GearVR을 선택하고자 한다면,

1. 이미지를 VR 파일로 변환시켜주는 사이트나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변환해야 한다.

2. 대부분 유료나 시험판 버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IrisVR.com (유료)

 - InsiteVR.com (유료)

 - SentioVR.com (무료)

 

위의 사이트에서 이미지파일을 업로드 후 VR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LumionVR을 사용하려 한다면,

 - 루미온 프로그램내에서 바로 실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 루미온 내에서만 볼 수 있기 때문에 GearVR 처럼 다른 디바이스나 프로그램에 사용하기에 호환성이 좀     더 떨어진다.

 

 

LumionVR 예시 사진 01 (lumion.com)

 

LumionVR 예시 사진 02 (lumion.com)

 

위의 사진처럼 VR과 연동되어 GearVR이나 OculusVR를 장착한 채 움직이면 움직임에 맞춰 디자인을 실시간으로 체험할 수 있다.

 

루미온 자체 렌더링 품질이 괜찮기 때문에, 쉽고 빠르게 360도 파노라마 VR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VR을 디자인 기법은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디자인을 체험할 수 있게 제공 할 수 있는 좋은 기법중 하나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