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볼거리/deep

(5)
[deep] 태양광 발전 시스템 디자인 가이드라인 제목: 공공건축 및 공동주택 등의 태양광발전시스템 디자인가이드라인 제안 연구 저자: 장영호 게시일: 2019.08.31 분야: 공공디자인 2022년 총 1백만 가구 보급계획을 발표한 서울시는 2018년 건축물 및 정비사업의 환경 영향평가 항목 및 심의기준을 개정하면서 대형 신축 건물에 태양광 발전을 의무화 시켰습니다. 이에 따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도시 곳곳에 도입되기 시작했는데, 안정성, 오염, 미관 저해의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공공을 위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도입하는건데 공공에게 피해를 주면 안되겠죠. 그래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어떻게 설계하거나 설치해야 좋은가'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습니다. 먼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무엇이고, 최근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태양광..
[deep] 토사재해 저감 방법과 예방 효과 정량화 분석 방법 제목: 도시 토사위험취약지구에 대한 방재기술의 공간 해석 및 설계 저자: 전혜지 게시일: 2019.08 분야: 도시설계 우리나라는 연간 강수량의 약 50% 이상이 하절기에 집중되어 있는 기후 형태를 보인다(기상청, 2018). 때문에 비규칙적인 돌발성 형태인 집중 강우나 게릴라성 강우로 인해 홍수나 산사태와 같은 2∙3차의 재난 이 이어져 매해 가중된 피해가 발생되고 규모도 점차 증대되고 있다. 2014년 보고된 IPCC 5차 보고서에서는 기후변화의 단계가 인간의 행태 로 인해 점점 더 빠른 속도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이제는 회복에 탄력적인 행태로서 적극적인 적응 정책이 필요한 시점임을 시사 한 바 있다. 2014년 이후 정부는 IPCC 5차 보고서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채택하 여 국가적 취..
[deep] 쉐어하우스에는 어디에 어떻게 만들면 좋을까 1인 가구 급증으로 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1인 가구 수가 매년 증가하여 2016년 약 540만 가구에서 2045년에는 약 810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약36%에 이를 것이라고 각종 뉴스에서 전망하는 만큼, 이에 맞춰 1인 가구를 수요로 하는 주거 공간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전체 1인 가구 중 20-30대 청년층은 36.5%를 차지하며, 주로 수도권 등 대도시에 밀집되어 있는데 반하여 청년 1인가구를 위한 주택은 충분하지 못 한 상황이다. 수도권에 집중된 주거수요는 주거비 상승으로 이어지며, 청년 1인가구의 주거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또한 여성 1인가구의 경우 주거 불안전과 범죄 불안감 등으로 인한 차별화된 주거환경이 필요하다. 청년 1인가구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쉐어하우스' ..
[deep]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설계 방법 B.IoT, 4차 산업혁명, 초연결시대 요즘 어디를 가도 보이는 단어들이다. 이런 단어들은 R&D나 연구에서도 단골로 들어가는 요즘 시대를 대변하는 대표 키워드다. 과연 이런 단어들이 우리 디자이너와 얼마나 밀접하게 있을까? 요즘 시대에 디자이너는 얼마나 시대와 발맞춰 가고 있을까? 디자인은 사회적 배경에서 나오는데, 정작 설계가들은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무관심한 것은 아닐까. 반갑게도 최근 다양한 시도들이 학계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중 하나인 가상현실(VR)을 활용한 디자인 방법이다. 먼저 VR이 디자인에서 왜 필요할까. 가장 큰 이유는 '직관성'이다. 설계 과정을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이는 그 공간을 활용할 사용자가 전반적인 디자인을 이해하는 것을 돕는다. 사용자의 ..
[deep] 새로운 디자인 기법 '바이오필릭' 디자인 모든 디자인에는 사회적 배경이 투영되어 있다.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혹은 자각하기 위해 그에 맞는 디자인 기법들이 존재한다. 사회적인 문제가 커지면 커질수록 이에 접근하기 위한 기법 또한 새롭게 개발되고 있다. 즉, 사회이슈와 디자인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렇다면 요즘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사회적 이슈가 무엇일까? 바로 고령화 사회다.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후 17년 만에 고령사회에 들어섰다. 우리보다 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한 일본도 고령사회에 이르기까지 24년이 걸렸다. 이제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를 바라보고 있는 우리는 이 변화가 얼마나 빠른지, 앞으로 얼마나 빠르게 바뀔 것인지 알아야 한다. 앞으로 공간을 이용하고 필요로하는 주체가 고령자로 변화한다는 것인데, 노년기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