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소개>
제목: 공공건축 및 공동주택 등의 태양광발전시스템 디자인가이드라인 제안 연구
저자: 장영호
게시일: 2019.08.31
분야: 공공디자인
2022년 총 1백만 가구 보급계획을 발표한 서울시는
2018년 건축물 및 정비사업의 환경 영향평가 항목 및 심의기준을 개정하면서
대형 신축 건물에 태양광 발전을 의무화 시켰습니다.
이에 따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도시 곳곳에 도입되기 시작했는데,
안정성, 오염, 미관 저해의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공공을 위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도입하는건데 공공에게 피해를 주면 안되겠죠.
그래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어떻게 설계하거나 설치해야 좋은가'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습니다.
먼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무엇이고, 최근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 및 환경 문제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 및 내구성 문제는 아래의 표와 같이 비, 바람, 햇빛 등 자연부식으로 인한 수명단축과 지반약화, 산사태, 지반붕괴 등 기존 산지를 태양광 발전지로 개발하면서 초래하는 환경문제가 있습니다.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일년 내내 야외에서 노출되다보니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 외부 환경에 의한 오염 문제
미세먼지, 배설물 등에 의한 오염이 태양광 발전량을 저하시킵니다. 특히 3~5월 같이 황사와 미세먼지가 심한 달은 전력생산에 악영향을 미치고, 조류 배설물이나 적설에 의해 발전량이 떨어지게 됩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 자동 세척 기계나 태양광 패널 표면 상태를 확인하는 CCTV등 다양한 관리 방법이 나오고 있습니다.
□ 태양광 발전 시설 설치로 인한 피해
산지에서는 기존 숲으로 사용하던 부지를 개발하여 태양광 발전 시설로 만든 곳은 지반 약화, 산사태, 지반 붕괴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도심지에서는 빛 공해, 곰팡이 피해, 도시 미관 저하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 문제점 분석
위의 문제점을 종합해보면 크게 '효율성', '안정성', '조화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태광광 발전 시스템 설치시 최적의 형태와 효율이 높은 공간 계획이 필요합니다. 또한, 주변의 환경과 구조의 안전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무분별한 설치로 경관이 저하시켜서는 안됩니다.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 태양광 설치 가이드라인 기본 원칙
태양광 설치 가이드라인 기본 원칙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1. 건축물 등과 형태를 일체화 해야합니다.
02. 넓은 설치면적을 최우선 적으로 밀집 설치해야 합니다.
03. 태양광 패널 각도를 0도 혹은 36도로 하되, 미관을 해치지 않아야 합니다.
04. 설치 주변 환경과 색감을 통일해야 합니다.
□ 분야별 세부 가이드라인
이 자료는 공공건축 등에 대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적용에 있어서
공공건축, 공동주택, 공영주차당 등 공공이용시설 설치를 위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 문제점과
설치유형 분석 및 디자인 가이드라인, 설치기준을 제시하였습니다.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건축물이 아직은 설비적인 요소가 강해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사례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자료는 공공건축 등에 대해 경관개선 및 미관 향상에 초점을 둔 점에서 향후 도시미관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 같습니다.
'볼거리 > de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ep] 토사재해 저감 방법과 예방 효과 정량화 분석 방법 (0) | 2019.12.05 |
---|---|
[deep] 쉐어하우스에는 어디에 어떻게 만들면 좋을까 (1) | 2019.11.26 |
[deep]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설계 방법 (1) | 2019.11.20 |
[deep] 새로운 디자인 기법 '바이오필릭' 디자인 (1) | 2019.11.15 |